요즘 docker를 많이 사용하디 보니 docker를 이용해서 nodejs를 실행해 봤다.일단 Dockerfile을 만든다 FROM node:carbon MAINTAINER tony #Avoid ERROR: invoke-rc.d: policy-rc.d denied execution of start.RUN sed -i "s/^exit 101$/exit 0/" /usr/sbin/policy-rc.d ## Install packgeRUN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git -yRUN echo "git install" RUN npm install -g pm2ENV NODE_ENV production RUN mkdir -p /appWORKDIR /app RUN git clone h..
ssh키를 다른 서버에 등록을 해야 되는데 문자열이 길다보니 복사해서 붙여넣기가 좀 귀찮다.이럴때 ssh-copy-id를 사용하면 손쉽게 등록을 할 수가 있다. ssh-copy-id -i ~/.ssh/id_rsa.pub user@111.222.333.444-i 다음에는 등록할 공개키경로그 다음에는 접속할 아이디@서버 아이피 이후 ssh user@111.222.333.444로 접속하면 된다. 접속할 서버가 많아지면 아이피를 다 외울수도 없고 그때마다 아이피를 찾아봐야 되는데 config파일을 이용하면 손쉽게 접속을 할 수가 있다. vim ~/.ssh./config Host cloudAtCost HostName 111.222.333.444 User user IdentityFile ~/.ssh/id_rsa H..
github에 ssh key를 등록하기 위해서 ssh key를 만든다.대부분 엔터를 치면 된다.cd ~/.sshssh-keygen -t RSA 키를 복사한다.cat id_rsa.pub Settings -> SSH and GPG keys 페이지로 들어간다. New SSH key 클릭 타이틀을 적고 복사한 키를 붙여넣기 한다. 이후에는 git clone을 할 때 https://github.com가 아닌 git@github.com으로 시작하는 ssh도 사용할 수 있다.ssh를 사용하는게 여러모로 편해서 좋다.
docker-compose를 사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한다. 1. 설치sudo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download/1.21.2/docker-compose-$(uname -s)-$(uname -m)" -o /usr/local/bin/docker-compose 2. 권한 부여sudo chmod +x /usr/local/bin/docker-compose 3. 버전 확인docker-compose version docker-compose version 1.21.2, build a133471docker-py version: 3.3.0CPython version: 3.6.5OpenSSL version: OpenSSL 1.0.1t 3 May ..
그동안 서버에 직접 jenkins를 설치해서 사용 했었는데,이번에 또 설치 할 일이 있었는데 docker도 공부할겸 해서 docker로 설치를 해봤다. 먼저, 도커를 설치한다. sudo yum install docker 매번 sudo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 사용자를 docker그룹에 포함시켜 준다. sudo usermod -a -G docker $USER 터미널을 나갔다 와야 적용된다. 도커 서비스를 시작하고 버전을 확인한다. sudo service docker start docker version Client: Version: 18.03.1-ce API version: 1.37 Go version: go1.9.4 Git commit: 3dfb8343b139d6342acfd9975d7f1068b5b1c3..
외부 API콜을 자주 해야 되는 상황인데 갑자기 다음과 같은 오류로그가 쌓이기 시작했다. System.Net.Http.HttpRequestException: An error occurred while sending the request. ---> System.Net.WebException: 기본 연결이 닫혔습니다. 받기에서 예기치 않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System.IO.IOException: 전송 연결 현재 연결은 원격 호스트에 의해 강제로 끊겼습니다에서 데이터를 읽을 수 없습니다. --->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현재 연결은 원격 호스트에 의해 강제로 끊겼습니다 일단 다음과 같이 web.config에 추가를 했다. 저번보다 오류건수는 줄었지만 그래..
zsh에 익숙해지다 보니 계속 이것만 사용하게 된다.centos를 설치하면 무조건 이것부터 설치하고 본다. 일단 설치 고고고~~sudo yum install -y zsh설치후 기본셸을 zsh로 변경which zsh-> /bin/zshchsh -s /bin/zshoh my zsh 설치curl -L https://raw.github.com/robbyrussell/oh-my-zsh/master/tools/install.sh | sh테마 수정vi ~/.zshrcZSH_THEME="robbyrussell"보통 agnoster를 많이 사용했는데 요즘에는 기본인 robbyrussell를 사용한다
mkdir /opt cd /opt sudo wget --no-cookies --no-check-certificate --header "Cookie: gpw_e24=http%3A%2F%2Fwww.oracle.com%2F;oraclelicense=accept-securebackup-cookie" "http://download.oracle.com/otn-pub/java/jdk/8u131-b11/d54c1d3a095b4ff2b6607d096fa80163/jdk-8u131-linux-x64.tar.gz" sudo tar xzf jdk-8u131-linux-x64.tar.gz cd jdk1.8.0_131 sudo alternatives --install /usr/bin/java java /opt/jdk1.8.0_1..
- Total
- Today
- Yesterday
- 트래비스 암호화
- namecheap
- docker-compose
- nodejs
- scp
- 쉘프로그래밍
- SSH
- MySQL
- 구글캘린더공유
- test 연산자
- 노션
- vim
- java
- vs community
- material dark
- Heroku
- Bash
- visutal studio
- git
- Mac
- aws
- Jenkins
- 쉘스크립트
- Docker
- 오프라인설치
- 트래비스 슬랙 연동
- 공백문자
- Slack
- Notion
- Linux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